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로그인
  • 회원가입
  • 주문조회
고객님은 "로그아웃" 상태입니다.
회원가입을 하시면 더 많은 이벤트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CATEGORY VIEW
김치, 그것이 알고 싶다
김치의 장 건강 증진 효과
상상건 산지직송 농,수산 장터 (ip:) / 2020-02-17 / 0점 / 조회수 621 추천하기

1. 장 질환과 장내 균총


▶ 장(gut, 內腸)에는 1,000조 개가 넘는 미생물들(microorganisms)이 공존하고 있는데 그

종류가 2~3만이나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미생물들의 배열과 군집(microbiome,

microbiota)은 건강유지의 조절자이자 장내 염증 발생과 전신 발병의 결정자들이라는 것이

속속 밝혀지고 있습니다.


▶ 현대의학은 장(腸)이 전신 건강의 척도이며 장의 건강상태가 사람의 유전자와 생리작용, 삶

의 질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며 심지어 수명까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다각도로 연구하

고 있습니다.


▶ 인체면역세포의 70%가 장점막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듯이 장은 가장 큰 면역기관이자

인체생리의 구심점으로서 역할을 합니다. 장내 미생물군에 있어서 유익균은 다양한 생리작

용을 담당하여 영양소 흡수와 활용, 몸의 해독, 염증, 면역기능, 효소와 비타민합성, 신진대

사, 성욕, 신경전달물질, 정서조절 등 광범위하면서도 필요 불가결한 일에 관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장내 미생물(박테리아)의 불균형은 장의 염증뿐 아니라 만성피로, 변비와 설사, 감기, 천식,

내분비기능, 알레르기성 질환, 치과질환, 비만, 당뇨, 고혈압, 두통, 치매, 불면증, 자가면역질

환, 암의 발병에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심지어 우울증과 불안, 주의력결핍, 행동장애,

자폐증, 치매발생 등 정신질환과 불가분의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인체의 장내 세균은 크게 퍼미큐티스 문(Firmicutes: 그람양성균)과 박테로이데테스

(Bacteroides: 그람음성균) 문으로 구분되는데, 과민성 장 증후군을 가진 성인은 건강한 성

인에 비하여 장내 세균 중에서 퍼미큐티스 문이 증가하고 박테로이데테스 문이 감소합니다

(퍼미큐티스는 비만을 유발하고, 박테로이데테스는 비만과 당뇨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

짐, 참고문헌 1,2).


▶ 과민성 장 증후군인 소아에서는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Gammaproteobacteria) 강, 특히

헤모필러스 파라인플루엔자(Hemophilus parainfluenza)가 증가하고 루미노코쿠스

(Ruminococcus) 속이 증가하며, 알리스티페스(Alistipes) 속의 증가와 복통이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진다고 보고된 바 있습니다(참고문헌 3). 과민성 장 증후군에 속하는 변비 및 설사

증상에 따라 미생물총이 다르다는 연구 결과도 있으나(참고문헌 4) 아직까지 확실하게 분류

되지는 않았습니다.


▶ 급성 위장관염을 앓은 후에 과민성 장 증후군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 항생제와

프로바이오틱스가 도움이 됩니다(참고문헌 4). 이러한 점을 통해 볼 때 장내 미생물은 장 질

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동물실험을 통해 염증성 장 질환(intestinal bowel disease, IBD)은 장내에 미생물이 있어

야 발병하게 된다고 밝혀졌으며, 크론병의 경우 대변의 흐름을 바꾸었을 때 염증이 호전된다

는 점에서 염증성 장 질환과 장내 균총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참고

문헌 6). 또한 장내 균총이 정착되기 전인 생후 1년 이내의 영아에서 항생제를 자주 사용할

시에 크론병이 발병할 위험이 높습니다(참고문헌 7).


▶ 염증성 장 질환이 있는 사람의 장내 균총은 건강한 사람에 비하여 종 다양성이 낮으며, 퍼미

쿠트스 문과 박테리오데테스 문이 감소하고 엑티노박테리아(Actinobacteria) 문과 프로테

오박테리아(Proteobacteria) 문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참고문헌 8)와 퍼

미쿠트스 문은 감소하고 박테리오데테스 문은 증가하며, 특히 크론병 환자는 건강한 사람에

비하여 앤테로박테리아세애(Enterobacteriaceae) 과가 증가한다는 다른 보고되었습니다

(참고문헌 9).



2. 김치의 장 건강 증진 효과


▶ 장 건강을 위한 유익균을 보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유산균 섭취가 있으며, 유산균이 많은 발

효음식인 김치, 된장, 청국장, 요거트 등과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를 통해 섭취할 수 있

습니다.


▶ 김치는 열량은 낮은 반면, 많은 양의 비타민, 미네랄, 식이섬유 및 기타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

고 있으며(그림 10),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캡사이신, 알릴 화화물, 진저롤, 이소티오시아네

이트, 클로로필)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로서 이소티오

시안산벤질, 인돌 화화물, 베타-시토스테롤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많은 연구에서

항암, 항산화, 항동맥경화증, 항당뇨, 항비만 효과 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참고문

헌 10~13). 이러한 김치의 생리학적 효과는 발효 과정에서 증폭되는 김치 재료로부터의 다

양한 생리활성물질과 발효 미생물 특히 유산균으로부터 생성되는 대사물질로부터 유래합

니다.

<배추김치 100g당 영양성분>


▶ 일반적으로 김치는 발효됨에 따라 높은 수준의 유산균을 포함(약 107~109 CFU/g)하고, 이

러한 유산균 또한 김치에 다양한 기능성(항비만, 항균활성, 콜레스테롤 저하 등)을 부여합니

다(참고문헌 14~20).


▶ 김치의 인체 장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참고문헌 21)에서 20~30세의 건강한 성인

10명에게 2주간 김치(200 g/day)를 섭취시키고, 2주간 섭취하지 않게 하는 5차례의 반복

실험 디자인으로 임상시험을 수행하였을 때 분변 분석을 통해 확인한 장내 균총 중

Bacteroides 속, Staphylococcus 속, Clostridium perfrigens, Escherichia coli는 김치

섭취와 상관없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난 반면 Bifidobacterium 속의 수는 약간 증가하였

습니다. Lactobacillus 속과 Leuconostoc 속은 김치 섭취기간 동안 증가하다가 섭취하지

않는 기간 동안 감소하였으나 104~105 CFU 수준을 나타냈습니다. 또한 김치 섭취기간 동

안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장내 유해 효소인 β-glucosidase와 β-glucuronidase

의 활성은 감소하였습니다.


▶ Kil(참고문헌 22)은 6명의 건강인에게 일반 배추김치 섭취군과 항암 기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기능성 부재료를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를 섭취하는 군으로 나누고, 김치를 2주간 섭취

하고 2주간 섭취하지 않도록 하는 반복실험 디자인으로 총 16주간 임상시험 후 분변을 통해

장내 균총, pH, 효소 활성을 확인하였습니다. 두 가지 김치를 섭취한 군 모두에서 김치 섭취

기간 동안 Lactobacillus 속과 Leuconostoc 속의 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분변의

pH, β-glucosidase와 β-glucuronidase의 활성은 김치 섭취 기간에는 감소하고, 섭취하

지 않는 기간 동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 김치로부터 분리한 유산균의 장 건강 개선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가 많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성 김치유산균은 프로바이틱스 제품시장으로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장 건강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3. 참고문헌


1) Rajilić-Stojanović M, Biagi E, Heilig HG, Kajander K, Kekkonen R, Tims S, de Vos

WM. Global and deep molecular analysis of microbiota signatures in fecal

samples from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Gastroenterol 141:1792-1801(2011)

2) Jeffery IB, O'Toole PW, hman L, Claesson M, Deane Ö J, Quigley EMM, Simren

M. An irritable bowel syndrome subtype defined by species-specific alterations

in faecal microbiota. Gut 61: 997-1006(2012)

3) Ko JS. The intestical microbiota and human disease. Korean J Gastroenterol 62: 85-91(2013)

4) Saulnier DM, Riehle K, Mistretta TA, Diaz MA, Mandal D, Raza S, Weidler EM,

Qin X, Coarfa C, Milosavljevic A, Petrosino JF, Highlander S, Gibbs R, Lynch SV,

Shulman RJ, Versalovic J. Gastrointestinal microbiome signatures of pediatric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Gastroenterol 141: 1782-1791(2011)

5) Ohman L, Simrén M. Intestinal microbiota and its role in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Curr Gastroenterol Rep 15: 1-7(2013)

6) Damman CJ, Miller SI, Surawicz CM, Zisman TL. The microbiome and

inflammatory bowel disease: is there a therapeutic role for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Am J Gastroenterol 107: 1452-1459(2012)

7) Shaw SY, Blanchard JF, Bernstein CN. Association between the use of antibiotics

in the first year of life and pediatric inflammatory bowel disease. Am J Gastroenterol 105: 2687-2692(2010)

8) Frank DN, St Amand AL, Feldman RA, Boedeker EC, Harpaz N, Pace NR.

Molecular-phylogenetic characterization of microbial community imbalances in

human inflammatory bowel diseases. Proc Natl Acad Sci USA 104: 1378013785(2007)

9) Walker AW, Sanderson JD, Churcher C, Parkex GC, Hudspith BN, Rayment N,

Brostoff J, Parkhill J, Dougan G, Petrovska L. High-throughput clone library

analysis of the mucosa-associated microbiota reveals dysbiosis and differences

between inflamed and non-inflamed regions of the intestine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BMC Microbiol 11: 7(2011)

10) Park KY.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ean Food Sci Nutr. 24:169­182(1995)

11) Islam MS, Choi H. Antidiabetic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baechu(Chinese

cabbage) kimchi in a type 2 diabetes model of rats. J Med Food. 12:292­297(2009)

12) Kim HJ, Lee JS, Chung HY, Song SH, Suh HS, Noh JS, Song YO. 3-

(40hydroxyl-30,50-dimethoxylphenyl) propionic acid, an active principle of kimchi,

inhibits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in rabbits. J Agric Food Chem. 55:10486­10492(2007)

13) Kim EK, An SY, Lee MS, Kim TH, Lee HK, Hwang WS, Choe SJ, Kim TY, Han

SJ, Kim HJ, Km DJ, Lee KW. Fermented kimchi reduces body weight and

improves metabolic parameters in overweight and obese patients. Nutr Res. 31:436­443(2011)

14) Kwon JY, Cheigh HS, Song YO. Weight reduction and lipid lowering effects

of kimchi lactic acid powder in rats fed high fat die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1014­1019(2004)

15) Kim NH, Moon PD, Kim SJ, Choi IY, An HJ, Myung NY, Jeong HJ, Um JY, Hong

SH, Kim HM. Lipid profile lowering effect of soy pro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in high-fat-diet-induced obese rats. Biofactors. 33:49­60(2008)

16) Sousa R, Halper J, Zhang J, Lewis SJ, Li WI. Effect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supernatants on body weight and leptin expression in rats. BMC Complement Altern Med. 8:1­8(2008)

17) Ahn DK, Han TW, Shin HY, Jin IN, Ghim SY. Divers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1:191­196(2003)

18) Kim JD. Antifung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orm kimchi against

aspergillus fumigates. Mycobiology. 33: 210­214(2005)

19) Jeun J, Kim S, Cho SY, Jun HJ, Park HJ, Seo JG, Chung MJ, Lee SJ.

Hypocholesterolemic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928 by

increased bile acid excretion in C57BL/6 mice. Nurition. 26:321­330(2010)

20) Lee J. Adhesion of kimchi Lactobacillus strains to Caco-2 cell membrane and

sequestration of aflatoxin B1.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581­585(2005)

21) Lee KE, Choi UH, Ji KE. Effect of kimchi intake on the composition of human

large intestinal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981-986(1996b)

22) Kil JH. Studies on development of cancer preventive and anticancer kimchi

and its anticancer mechanism. PhD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Korea(2004)


출처 - 세계김치연구소 2019 Kimchi FAQ

첨부파일 :
비밀번호 : 수정 및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게시판 상세
댓글 수정

비밀번호 :

/ byte

비밀번호 : 확인 취소

BANK INFO
기업은행
215-099825-01-017
예금주 - 온(정재용)
RETURN / EXCHANGE
상품의 반품 관련 문의는 산지마다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고객센터로 연락 후 진행해 주셔야 합니다.
BANK INFO
기업은행
215-099825-01-017
예금주 - 온(정재용)
RETURN / EXCHANGE
상품의 반품 관련 문의는 산지마다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고객센터로 연락 후 진행해 주셔야 합니다.